유물이 사라져도 종교 의례의 구조는 암반에 각인됩니다고대 종교 의례를 밝히는 가장 전통적인 방법은 제의 도구, 성물, 장식품, 제단 유구 등을 조사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저는 수차례의 현장 조사를 통해 가시적 유물이 전혀 남아 있지 않은 동굴과 암반 지대에서도 의례 흐름 전체가 명확하게 재구성되는 사례를 확인했습니다.이는 고대 종교가 물질보다 공간·음향·빛·경로 같은 비유물 요소를 중심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입니다. 빛이 들어오는 각도, 암반 벽면의 침식 패턴, 발걸음의 반복으로 생성된 미세 압밀층, 물길의 조정 흔적 등은 의례 도구보다 더 오래 남는 증거입니다.본 연구 글에서는 이러한 구조를 기반으로 비유물고고학이 어떻게 종교 의례의 존재와 운영 방식을 복원해내는지를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설명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