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시대의 디지털 격차, ‘접근성’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령화는 이제 전 세계적인 흐름이며, 한국은 특히 빠르게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65세 이상 고령자의 비율은 2024년 기준 전체 인구의 약 18%를 넘어섰고, 2027년에는 20%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디지털 정부 서비스, 금융, 헬스케어, 커뮤니케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노인을 위한 디지털 전환이 필수적 과제로 떠올랐다. 그러나 현실에서의 디지털 서비스 설계는 아직도 ‘기술적 접근성 확보’에 머무르고 있는 경우가 많다.예를 들어, 스마트폰 설정에서 글씨 크기를 키우거나 고대비 모드를 제공하는 기능은 대부분의 기기에서 제공되고 있지만, 이는 물리적 접근을 가능하게 만드는 ‘기초적 접근성’에 불과하다. 실제 ..